학술대회논문
71개(1/8페이지)
71
최치원의 선도 사상
고운 최치원(857-?)은 이러한 한국의 선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인물이다. 학자로서의 고운은 유교는 말할 것도 없고 불교와 도교에 대해서도 폭넓은 지식을 갖고 있었다. 그는 당나라에서 16년을 살다가 28세의 나이로 귀국하였다. 그는 신라에 온 후 우리나라에도 도교와 비슷한 사상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2023.08.23,
작성자:김현일(상생문화연구소), 조회수:4201
70
구처기와 칭기스칸
구처기는 전진도의 5대 장문인이며, 훗날 용문파의 조사가 된 인물이다. 칭기스칸은 이 구처기를 1219년 서역으로 불렀다. 칭기스칸은 그에게 도에 대해 물었다.
2023.08.23,
작성자:이재석(상생문화연구소), 조회수:3855
69
신시 배달의 선인 발귀리, 자부선생, 광성자
한단고기에 나오는 배달 시대 선인 가운데 한 사람인 발귀리는 태호복희와 동문수학한 인물이다. 광성자는 한국의 도교사에서 중요한 인물이다. 공동산에서 선도를 닦으며 살고 있었는데, 황제黃帝 헌원이 와서 도를 물으니 가르침을 내렸다고 한다. 자부선생은 광성자와 동일인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2023.08.23,
작성자:김선주(상생문화연구소), 조회수:3501
68
김일부의 정역사상과 영가무도
김일부는 주역의 권위에 짓눌렸던 낡은 옷을 벗어던지고 선후천 전환의 관점에서 새로운 우주관과 시간관을 수립하였다. 그는 인류가 꿈꾸었던 유토피아 세상이 오는 이치와 과정을 경건한 마음으로 성찰했으며, 때로는 난해하기 짝이 없는 고도의 수학 방정식을 고안하여 시간의 근본적 혁명을 담아냈다.
2023.08.17,
작성자:양재학(상생문화연구소), 조회수:3977
67
시가로 보는 여동빈
여동빈은 대략 당나라 말기와 북송 초기에 활동한 선인이다. 종리권으로부터 도를 배웠다. 여동빈은 본래 당나라 때 유학자 집안에 태어나 과거에 급제하여 온 천하를 태평하게 하려는 원대한 이상과 포부를 지녔다. 그러나 여동빈은 벼슬살이에 얽매여 명예와 이익을 얻기 위해 아등아등 발버둥을 치며 사는 것보다 신선이 되어 하늘에 올라가 옥황상제를 모시고 그 무엇에도...
2023.08.17,
작성자:원정근(상생문화연구소), 조회수:7894
66
한국 신선사상의 맥
한국 신선사상의 맥은 태을신맥과 해동신맥으로 구분된다. 신선사상은 요동반도 청구에서 발원하여 고조선이 멸망하자 하나는 중국으로, 다른 하나는 한반도로 전래되었다. 중국으로 전해진 것이 해동선맥이고 한반도로 전해진 것이 태
을선맥이다.
2023.08.07,
작성자:안동준(경상대학교 교수), 조회수:3422
65
증산도 후천 선문화와 삼랑선
호모 사피엔스의 전체의 역사를 들여다보면 거대한 흐름을 만나게 되고 그 흐름이 우주 1년의 법칙 속에서 유유히 흐르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지금은 우주의 봄여름 상극의 질서 시간대를 끝나고 가을 우주를 여는 후천 개벽기이다. 우주의 후천 세상을 책임질 인존은 신선이다. 상제를 모시는 신선이어서 삼랑선이다. 삼랑선이 되기 위해서는 가을의 우주 정신 원시반...
2023.07.10,
작성자:박진수 (증산도 교무도군자), 조회수:3561
64
The Cult of the Great Mother Goddess in
he cult of the Great Goddess in Thrace appears as part of a sweeping cult of the Great Mother Goddess that encompassed immense territories of Eurasia. The origins of this cult go back to the Upper Pal...
2023.06.30,
작성자:Nelly Russ, PhD, 조회수:3252
63
트라키아의 대모신大母神 숭배 전통
불가리아 남부 지역의 많은 숭배 유적지, 그리고 로도피 산맥 동쪽에 자리한 암벽 사원 유적들이 신석기 시대에 대모신 숭배가 발칸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이뤄졌음을 말해준다. 무엇보다도 그녀는 지모신이자 생명의 근원으로서 만물의 시작과 끝에서 늘 함께 한다.
2023.06.26,
작성자:넬리 루스(고려대 고고미술사학과 초빙 교수), 조회수:3909
62
A Clinical Practice Study of Korean “Han
The implications for Philosophical and Theoretical Perspective of Han Transformation Practice Building upon this promising practice, the implications are discussed for the philosophical and theor...
2023.06.05,
작성자:KuiHee Song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교수), 조회수:28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