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족풍속사전
9개(1/1페이지)
9
시두時痘
시두時痘 정의 시두(천연두) 바이러스variola virus에 의해 일어나는 악성 전염병이다. 서양의학 요어로 ‘천연두天然痘(smallpox)’를 일컫는다. 두창痘瘡․포창疱瘡이라고도 하며, 속칭으로 '별성마마', '손님마마' 또는 '역신마마'라 하고, 줄여서 마마․손님이라고도 한다. 시두에 얽힌 역사의 비밀 시두는 다른 전...
2016.02.23,
조회수:8210
8
기우제祈雨祭
기우제祈雨祭 정의 비가 오지 않아 가뭄이 심할 때 나라나 민간에서 비가 오기를 기원하며 하늘에 행한 제의를 말한다. 기우제는 인간과 비를 오게 하는 궁극적 존재인 하늘, 지고신, 즉 우주 주재자 간의 의사소통의 한 풍습이다. 유래 동서양을 막론하고 기우제는 있었다. 그리스·로마 신화에 의하면 주신主神인 제우스가 비를 내린다...
2016.02.23,
조회수:5552
7
씨름
씨름은 원래 고대의 투기(鬪技)의 하나가 놀이로서 발전한 것이다. 서양의 레슬링이나 일본의 스모도 모두 비슷한 기원을 가진 놀이이다. 중국의 후한서에는 부여의 왕이 한나라를 방문했을 때 피리를 불고 각저희(角抵戱)를 하게 했다는 기록이 나온다. 이 각저희가 씨름과 같은 것이었다고 보인다. 씨름은 제사의식의 일부로도 사용되었을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2013.06.27,
조회수:4144
6
제사(祭祀)
제사(祭祀)제사의 기원과 의미제사는 신령에게 음식을 바치며 기원을 하거나 돌아간 이를 추모하는 의식을 통틀어 말한다. ‘제(祭)’자는 갑골문의 피가 뚝뚝 떨어지는 최상의 고기를 손으로 바치는 상형문자이고, 금문(金文)에는 땅귀신 ‘기(示)’자를 덧붙혀 신에게 희생을 바치는 회의문자로서, 대체로 자연신이나 조상신에게 희생을 바치고 복을 기원하는 의식이었다. ...
2013.06.27,
조회수:7264
5
풍물굿
농사일을 하던 우리네 조상들이 쇠, 징, 장고, 북 등 4가지 악기를 중심으로 가락을 치며 춤과 함께 노래와 재담, 사설, 재주 등과 연극적 요소를 가미한 총체적 연희를 말한다. 풍물굿은 음악성이 두드러진 풍물과 제의성이 두드러진 굿의 결합이다. 신교음악인 풍물굿은 풍장․두레․매구․굿․풍물놀이․풍물 등 지역마다 다르게 불렀는데, 근래에는 사물놀이란 말로 유...
2013.06.17,
조회수:5601
4
봉황鳳凰(→용봉龍鳳)
봉황鳳凰은 조류 3백 60종의 수장이라고 일컬어지는 중국의 신조神鳥다. 중국에 있어서 봉황은 용과 더불어 중화문명의 상징이다. 중국에는 현무, 주작, 기린, 백호 등 여러 성수聖獸가 존재하지만, 그 중 대표적인 동물 두 가지를 꼽으라면 단연 용과 봉황이다. 수컷을 ‘봉鳳’이라고 하고 암컷을 ‘황凰’이라고 한다. 처음에는 ‘봉’이라는 한 글자만으로 이 새를 ...
2013.06.17,
조회수:6459
3
북두칠성
별을 신앙의 대상으로 하는 것은 상당히 보편적인데 북두칠성을 신앙하는 칠성신앙이 우리나라에 영향을 끼친 것은 도교의 전래와 관계가 있을 것으로 본다. 그러나 최근에 고고학적인 유물의 발굴에 의해서 자생적인 칠성신앙에 대한 학계의 해석이 설득력 있게 제시되고 있다.
2013.06.17,
조회수:7032
2
명부冥府
명부는 좁은 의미로서 죽어서 심판을 받는 곳, 다시 말하면 염라대왕이 있는 곳이다. 넓은 의미로는 죽은 뒤에 가는 다른 세상을 말한다. 다른 말로 저승이라고도 하며 명계冥界, 황천黃泉, 구천九泉, 유명幽冥, 음부陰府 등의 용어를 쓰기도 한다.
2013.06.17,
조회수:6828
1
누에
흔히 양잠과 비단은 중국에서 고조선으로 전파된 것으로 알고 있으나 최근의 고고학 발굴은 고대 한민족이 중국보다 양잠과 비단직조 기술이 앞섰음을 보여준다. 홍산문화 유적지에서 나온 옥잠(옥누에)이 대표적인 유물이다. 고대 한민족은 BCE 2700년경 신석기 시대에 이미 양잠을 시작했고 사직물을 생산했던 것으로 보인다.
2013.06.17,
조회수:8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