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개(1/4페이지)
33
지명 ‘시베리아’의 유래를 찾아서 (2)
지명 ‘시베리아’의 유래를 찾아서 (2)
상생문화연구소 홍미선(불어학 박사)
‘시비르’는 종족명인가, 지명인가
‘시베리아’라는 지명이 ‘시비르’ 칸국에서 왔다면, ‘시비르’는 본래 지명이었을까, 아니면 종족명에서 유래했을까?
『몽골비사』(『원조비사』)에 나오는 ‘시비르’는 지명보다는 종족명으로 보인다. 그 첫째 근거는 최초의...
2021.04.09,
작성자:홍미선 연구위원, 작성일:2021. 4. 07., 조회수:3190
[세계지역문화탐방]
32
지명 ‘시베리아’의 유래를 찾아서 (1)
지명 ‘시베리아’의 유래를 찾아서 (1)
상생문화연구소 홍미선(불어학 박사)
2019년 여름, 몇 개월 뒤면 Covid-19라는 무시무시한 괴물이 전 지구를 덮쳐 해외여행은 추억 속에 갇힌 꿈이 되어버릴 것을 상상도 못한 채, 나는 시베리아의 한 끝자락을 여행하고 있었다. 이름은 한없이 익숙하건만 낯설기 그지없던 미지의 땅이라서 더욱 와 보고...
2021.04.09,
작성자:홍미선 연구위원, 작성일:2021. 4. 07., 조회수:2768
[세계지역문화탐방]
31
뮤지컬에 대하여 1
공연 예술은 오랜 역사와 전통을 지니고 있으며, 인류와 함께 발전해왔다. 공연 예술 중에서도 요즘 들어 성공을 거두고 있는 공연예술로는 뮤지컬을 꼽을 수 있다. 노래, 춤, 연기가 함께 어우러지는 대중 예술 공연 양식을 뮤지컬이라 부른다. 특히 노래가 중심이 되어 춤과 극적 요소가 조화를 이룬 종합 공연물이다.
2020.08.04,
작성자:한봉규 연구위원, 작성일:2020. 8. 4., 조회수:2466
[세계문화사상]
30
자유와 인내와 관용의 나라 불가리아 Bulgaria
[세계지역문화탐방]자유와 인내와 관용의 나라 불가리아 Bulgaria불가리아는 북방 유목민 계열인 불가르족이 세운 나라로서, 비잔틴 제국의 지배에 이어 500년간의 터키 지배를 겪고서도 독립을 이뤄낸 역사를 갖고 있다. 그래서 그들은 스스로를 자유와 인내와 관용의 민족으로 표현한다. 이 나라는 독립 후 공산화가 되었다가 1990년 민주주의 체제로 전환을 했...
2019.12.26,
작성자:김현일 박사, 작성일:2019.12.26;., 조회수:3291
[세계지역문화탐방]
29
히말라야에 떠도는 망자의 노래 티베트 Tibet
[세계지역문화탐방]히말라야에 떠도는 망자의 노래 티베트 Tibet티베트는 인류 문명의 젖줄로 불리는 중국 남서부 티베트 고원을 무대로 오랜 세월 동안 고유한 민족적, 문화적 전통을 구축해 온 지역으로, 현재는 중국에 합병되어 ‘시짱西藏자치구’로 남아 있다. 기원전 4세기경 형성된 토번 왕조로 역사에 등장한 티베트 민족은 몽골(원元)과 명明, 청淸 등 중국 ...
2019.10.10,
작성자:노종상 연구위원, 작성일:2910.10.10., 조회수:4942
[세계지역문화탐방]
28
벵골어를 지키며 세운 나라 방글라데시
아시아 서남부에 자리를 잡은 방글라데시는 세계 제일의 인구 조밀국이자 세계 최빈국의 하나이다. 고대에 인도 대륙 왕조와 이슬람왕조, 무굴제국의 지배를 거쳐 18세기 중엽부터 영국의 식민 지배를 받다가 1947년 동파키스탄으로 독립을 했으며, 다시 현재의 파키스탄(서파키스탄)과 유혈 전쟁을 벌인 끝에 1971년 방글라데시로 분리 독립을 달성했다. 독립 이후 ...
2018.10.04,
작성자:양재학 연구위원, 작성일:2018.10.4., 조회수:5757
[세계지역문화탐방]
27
잉카문명의 발원지 페루
페루는 남미 대륙에 있는 다인종 국가로 마추픽추의 나라로 불릴 만큼 고대 잉카문명을 활짝 꽃피운 곳이다. 16세기 초에 스페인의 식민지가 되어 근 300년 동안 통치를 받다가 산 마르틴, 시몬 볼리바르 등의 영웅들에 의해 1824년 독립을 달성한 뒤, 여러 권력자들의 정쟁과 좌익 테러 등으로 혼란을 겪다가 1990년대 이후 점차 안정을 찾아 현재에 이르고 ...
2018.10.04,
작성자:한봉규 연구위원, 작성일:2018.10.4., 조회수:6707
[세계지역문화탐방]
26
멀지만 가장 가까운 나라 미국
미국은 우리나라와는 지리적으로 태평양을 사이에 둔 먼 나라이다. 그러나 정치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또 문화적으로 미국만큼 우리와 가까운 나라도 없다. 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한 한국의 맹방이며 또 우리나라 교민들이 가장 많이 사는 나라이며 한국 학생들이 가장 유학을 많이 가는 나라이기도 하다. 그러나 미국에 대해 적지 않은 한국인들이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것도 ...
2016.09.28,
작성자:김현일 연구위원, 작성일:2016.9.28., 조회수:6717
[세계지역문화탐방]
25
'돌아온 유대인의 나라' 이스라엘
'돌아온 유대인의 나라' 이스라엘유대인들은 독특한 민족이다. 유대인들은 1세기에 로마 제국의 지배에 반항하다 팔레스타인에서 쫓겨나 수 세기 동안을 세계 도처에 흩어져 살았다. 이른바‘ 디아스포라Diaspora(유대인의 이산離散)’이다. 하지만 유대인들은 어느 곳에서든 그들의 문화적 전통을 지키며 살았고, 끝내는 다시 돌아와 이스라엘이라는 작지만 강고한 나라...
2016.07.05,
작성자:김현일 연구위원, 작성일:2016.7.5., 조회수:8297
[세계지역문화탐방]
24
‘희망봉’의 나라 남아프리카공화국
‘희망봉’의 나라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프리카공화국은 인류가 가장 먼저 거주한 지역 중 하나로 꼽히는 오랜 역사를 지닌 곳이다. 15세기에 디아스의 희망봉 발견으로 유럽에 알려진 이래 17세기부터 유럽 지역 백인들의 본격 이주가 이어지고 19세기에는 영국의 식민지 지배가 시작되었다. 영국 연방 시절 아파르트헤이트라는 인종차별 정책으로 악명이 높았던 남아공은 샤...
2016.06.24,
작성자:노종상 연구위원, 작성일:2016.6.24., 조회수:7671
[세계지역문화탐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