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원 칼럼(舊)
- * [상생문화 열린마당]으로 게시글이 계속 올라갑니다
254개(12/26페이지)
144
중국의 소수민족 3 : 중국의 소수민족 정책
중국의 역사는 다수민족인 한족漢族과 소수의 이민족異民族 사이에 벌어진 지배와 통치의 교체사라고 볼 수 있다. 현재 소수민족 상태로 생활하고 있는 민족의 대부분은 원래 중국의 주변민족이었고, 하夏 ·상商 ·주周 시기에 한족의 중국은 황하黃河 지역만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한족의 세력이 팽창되어감에 따라서 주변 민족과의 충돌은 불가피하였고, 이에 따라 중국...
2020.08.03,
작성자:김선주 연구위원, 작성일:2020. 8. 3., 조회수:10462
[역사와 문명]
143
철학에세이 8-9 에소테릭 하이데거 (2) 사유의 침묵, (3) 해명-발
하이데거가 말하는 존재는 우리를 둘러싸고 우리가 이렇게 저렇게 관계 맺는 모든 존재하는 것들에서 가장 먼저 알려지는 것이다. 모든 것들은 우선 있고 나서 무엇, 무엇이며 어떻게… 등등이다. 존재 덕분에 존재자는 그 자체로서 존재한다. 존재는 존재자와 관련해서는 ‘존재하게 함’이다. 그래서 존재하는 것들은 언제나 ‘존재의 존재자’이다. 그러나 존재는 존재자...
2020.07.31,
작성자:황경선 연구위원, 작성일:2020. 7. 31, 조회수:6003
[종교와 도]
142
철학에세이 7 에소테릭(esoteric) 하이데거?! 1. 난해하지만 매
‘에소테릭 하이데거?!’란 제목으로 다루려는 얘기는 하이데거에 관한 한 가장 먼저 꺼내도 좋은, 아니 꺼냈어야 할 주제가 아닌가 싶다. ‘에소테릭’(비의적秘儀的, 신비한, 난해한)은 하이데거에 관해 서구의 또는 서구적 사유에 익숙한 지성들이 보이는 두드러진 반응 중 하나이다.
2020.07.29,
작성자:황경선 연구위원, 작성일:2020. 07. 29., 조회수:6393
[종교와 도]
141
서양사산책 4. 구약성서 속의 신비의 인물 멜기세덱
멜기세덱은 구약성서의 창세기에 나오는 신비한 인물로 부모도 없고 족보도 없는 사람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중세 유럽의 연대기들에서는 그가 페니키아의 시돈 왕국의 왕가로부터 나온 인물로 진정한 하느님을 섬기는 제사장이었다고 한다.
2020.07.27,
작성자:김현일 연구위원, 작성일:2020. 7. 27., 조회수:9226
[역사와 문명]
140
항일무력투쟁의 아방가르드 의열단 창단 제101주년을 앞두고 (2)
의열단은 1908년 전명운·장인환 미국 의거를 시발로 1909년 안중근 의거, 1919년 3.1혁명운동, 임정수립, 신흥무관학교 설립 등 이들 정신과 사상을 계승했다. 무력투쟁의 최일선 전위조직으로 활동하며 1935년 공식 해체되기까지 한인애국단 창단에 영향을 끼쳤다. 또한 조선의용대와 한국광복군으로 연결되는 독립운동사의 큰 맥을 형성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2020.07.27,
작성자:정원식 연구위원, 작성일:2020. 07. 27., 조회수:8489
[역사와 문명]
139
항일무력투쟁의 아방가르드 의열단 창단 제101주년을 앞두고 (1)
금년 11월 9일과 10일은 의열단(1919년~1935년) 탄생 101주년 되는 날이다. 항일무장단체인 의열단은 일본제국을 향해 적극적인 작탄활동을 전개하여 일제의 간담을 서늘케 하였다.의열단은 ‘3.1혁명’이 일제의 무력 앞에 실패로 끝난 후 비폭력 투쟁이 갖는 한계에 대한 반성으로 만들어진 단체이다.
2020.07.22,
작성자:정원식 연구위원, 작성일:2020. 7. 22., 조회수:9754
[역사와 문명]
138
「삼일신고三一神誥」가 인도하는 진아眞我 6 '일신의 정체성'
‘일신’의 기원은 ‘대광명’에서 비롯된다. 동북아 한민족의 태고인들은 ‘대광명’의 중심이 되는 태양을 ‘일신’으로 받들었다. 이후 역사가 진행되면서 태양신의 개념은 그 영역이 확대될 수 있고 지위가 높여질 수 있는 천신天神으로 승격되었다. 천신은 바로 사고와 언어의 증진과 함께 모든 것을 포섭하고 포섭되는 ‘일신’이 된 것이다. ‘일신’은 형이상학적(존재론...
2020.07.16,
작성자:문계석 연구위원, 작성일:2020. 7. 16., 조회수:8364
[증산도와 한문화]
137
철학에세이 6 하이데거의 80회 생일에 부친 한 일본인의 축사 2
하이데거의 사유가 동아시아의 선불교와 도대체 무슨 관계가 있을까? 하이데거 사유는 그 자체의 관점에서 보면 완전히 독자적인 사유이기에 아마도 전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로 우리는 이 사유와 매우 깊은 관련을 갖고 있다.
2020.07.06,
작성자:황경선 연구위원, 작성일:2020. 7. 6., 조회수:6108
[종교와 도]
136
철학에세이 5 하이데거의 80회 생일에 부친 한 일본인의 축사 1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을 가장 먼저 자국어로 번역한 나라는 어디일까? 일본이다. 그러면 하이데거를 다룬 최초의 에세이라고 광범위하게 간주되는 글은 어디서 먼저 발표되었을까? 역시 일본이다.하이데거와 일본의 인연은 백년 가까이 이어진 것이고 또 위에서 잠깐 소개했듯 그만큼 각별하기도 하다. 이미 1920, 1930년대 많은 일본 학자들이 독일에서 하이데거...
2020.07.06,
작성자:황경선 연구위원 , 작성일:2020. 7. 6, 조회수:6138
[종교와 도]
135
「삼일신고三一神誥」가 인도하는 진아眞我 5 일신의 기원
「삼일신고」의 2장은 “일신一神”을 간략하게 정의하고 있으나, 그 뜻을 명확하게 파악하여 인식하기란 쉽지 않다. 그럼에도 ‘일신’의 핵심 뜻은 대략 세 관점, 즉 모든 존재의 근원이고, 창조의 주체主體이자 주재主宰이며, 세계를 초월해있는 것이 아니라 내재적이라는 관점으로 집약集約하여 이해해볼 수 있을 것이다.
2020.07.06,
작성자:문계석 연구위원, 작성일:2020. 7. 6., 조회수:9038
[증산도와 한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