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원 칼럼(舊)
- * [상생문화 열린마당]으로 게시글이 계속 올라갑니다
41개(4/5페이지)
11
삼위일체론과 삼신일체론
삼위일체론과 삼신일체론 1. 삼위일체론 1) 삼위일체론 정의 : 기독교는 한 분 하나님을 믿는 종교이다. 그래서 다신론이 아니라 유일신 종교이다. 그러나 『성경』여러 곳에서 세 분 하나님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그래서 삼위일체(Trinity)론이 제기된 것이다. 삼위일체란 개념은 희랍어 “μία...
2016.11.16,
작성자:문계석 연구위원, 작성일:2016.11.16., 조회수:12426
[증산도와 한문화]
10
신교의 삼신관에 관한 일고
신교의 삼신관에 관한 일고 Ⅰ. 영원한 생명의 근본 삼신 신교에서 일자〔한〕, 즉 모든 것의 시원이면서 그것들의 공통된 근본을 이루는 존재는 삼신이다. 삼신은 ‘모든 것을 지은 것〔一切惟三神所造〕’; ‘사람과 만물이 함께 생겨 나는 바’(『태백일사』 「삼신오제본기」; 「소도경전본훈」); “영원한 생명의 근본”; “한 근원의 조상”〔...
2016.11.09,
작성자:황경선 연구위원, 작성일:2016.11.3., 조회수:11679
[증산도와 한문화]
9
동양의 천문학과 북두칠성 신앙의 형성배경
동양인에게 천문학은 매우 중요한 학술이었다. 천문학은 자연의 신비로움과 합법칙성에 대한 종교적 외경심과 호기심이 낳았던 산물이었으며, 우주의 이법과 인간사회의 윤리적 결속의 인식이었고, 그것은 송대철학에 이르러 유기체적 철학으로 발전하는 기반이 되었다.
천문학은 크게 우주 구조론構造論과 우주 생성론生成論으로 이루어진다. 구조론 없는 생성론은 신비 투성...
2014.03.03,
작성자:양재학, 조회수:15858
[증산도와 한문화]
8
중국 신명 이야기
귀신의 유형은 매우 방대하고 복잡하여, 귀신 전체를 분류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다만 편의상 중국의 귀신을 다음과 같이 크게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해 볼 수 있다.
첫째는 ‘어떻게 죽었는가’ 즉 사인死因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 목매달아 죽은 귀신을 조사귀吊死鬼 또는 액귀縊鬼라 하고, 물에 빠져죽은 귀신을 엄사귀淹死鬼나 익사귀溺死鬼, 또는 수귀水鬼...
2014.03.03,
작성자:이재석, 조회수:16095
[증산도와 한문화]
7
진묵대사의 생애와 사상
진묵대사(1562-1633)는 조선 중기 명종 17년 임술년壬戌年에 만경萬頃의 불거촌佛居村에서 태어나 인조 11년 계유년癸酉年 10월 28일에 세상을 떠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려 말 공민왕 때의 나옹懶翁대사와 더불어 석가모니 후신불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그렇다면 왜 진묵대사가 한국 불교사에서 위대한 선승의 한 사람으로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존경을 받...
2013.09.26,
작성자:원정근, 조회수:19350
[증산도와 한문화]
6
불로장생不老長生을 추구한 사람들
증산도의 ‘선’은 한 민족의 전 역사에 걸친 신교적 전통과 상제신앙으로부터 발현한 세계에 대한 인식과 진리를 안으면서, 새로이 인간의 진실과 우주의 본질에 대한 해명을 지닌 것이다. 증산도 ‘선’의 특징적인 면은 ‘선’이 사실상 신과 인간, 즉 신神·인人이라는 이중적 세계를 교섭하는 상화相化 즉, 조화의 원리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한마디로 조화와 종합 그...
2013.09.26,
작성자:김선주, 조회수:13954
[증산도와 한문화]
5
신채호의 『조선상고사』와 역사인식
신채호의 『조선상고사』와
역사인식
- ‘총론’
‘수두시대’ ‘삼조선 분립시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부 김철수
(136. 7. 25.)
Ⅰ.
가장 어려운 시대, 갖은 역경을 헤치며
민족의 얼을 역사에 아로새긴 인물, 신채호! 그는
한국인의 정신을 일으켜 세운 사상가이자 어떠한 어려움...
2013.07.12,
작성자:김철수 , 조회수:16497
[증산도와 한문화]
4
북두칠성
우리나라의 민간 신앙은 다채로운 모습을 띠고 있다. 그 가운데 뚜렷한 것이 칠성신앙이다. 위에서 본 것처럼 우리나라의 칠성에 대한 관심은 남다른 것이었고 그 뿌리 또한 오래고 깊음을 알 수 있다. 사찰에 가면 볼 수 있는 건물 가운데 칠성각이라는 독립건물이 있다. ‘각’이라는 명칭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이것은 토속신을 불교적으로 수용한 것이다. 칠성각이 ...
2013.07.12,
작성자:최정규, 조회수:15862
[증산도와 한문화]
3
어머니 신, 삼신할머니 (2)
"엄마, 난 어떻게 태어났어?" 나의 어린 딸아이도 내게 똑같은 질문을 해왔다. 글쎄... 하고 뜸을 들이며 궁색한 답변을 찾고 있으면, 아이가 먼저 유치원과 책에서 배웠다며 엄마 아빠가 서로 사랑해서 태어난 것이라고 아는 척을 한다. 생물학적으로 아기의 탄생과 성장과정을 쉽게 풀어놓은 동화책들을 통해 아이는 스스로 궁금증을 해소하는 듯하다.
2013.07.11,
작성자:류은희, 조회수:19127
[증산도와 한문화]
2
우리 문학 속의 해원 - 〈공무도하가〉이야기
고대가요 〈공무도하가〉(일명 〈공후인〉)는 우리 문학사의 첫머리에 해당하는 작품이다. 첫 단추다. 어떤 일이든 첫 단추를 잘 꿰어야 한다. 다음 ‘단추’에 영향을 미치는 까닭이다. 따라서 〈공무도하가〉는 우리 문학사의 한 쪽 면을 들여다볼 수 있는 하나의 바로미터라고 할 수 있다.
2013.07.11,
작성자:노종상 , 조회수:13575
[증산도와 한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