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원 칼럼(舊)
- * [상생문화 열린마당]으로 게시글이 계속 올라갑니다
117개(5/12페이지)
77
객원연구원논문 The Image of World Tree 2
The attributes of the Korean and Siberian shamanistic costumes are well known by archaeological and ethnographic data. In the traditions of the Tungus-Manchurian peoples, a shaman’s headd...
2020.04.21,
작성자:Chingis Akhanyanov 객원연구원 , 작성일:2020.4.21., 조회수:8496
[역사와 문명]
76
객원연구원논문 The Image of World Tree 1
The article is devoted to the image of the world tree. The image was found on the corneous reliquary in the female burial of the khazar period in the Lower Don region (Russia). Central part of RUSSIA....
2020.04.21,
작성자:Chingis Akhanyanov 객원연구원, 작성일:2020.4.21, 조회수:8672
[역사와 문명]
75
객원연구원논문 Scythian mounds and burials 2
Active study of Scythian mounds and burials began in the nineteenth century. At that time, Ukrainian lands (except Western Ukraine) were part of the Russian Empire.
2020.04.08,
작성자:Oleksandr Ishchuk 객원연구원, 작성일:2020. 4.8., 조회수:8906
[역사와 문명]
74
객원연구원논문 Scythian mounds and burials 1
In the article ‘Scythian mounds and burials in the VII to III-II centuries BC in Ukraine’ an attempt was made to tell about the localization of the place of the Scythian mounds in the territory of Ukr...
2020.04.07,
작성자:Oleksandr Ishchuk 객원연구원, 작성일:2020.4.7., 조회수:8681
[역사와 문명]
73
중국의 소수민족 1
일반적으로 소수민족이란 다수민족에 대한 대칭어로 특정한 국가를 구성하는 전체국민 가운데 수적으로나 정치, 문화 등 각 방면에서 우위를 차지하는 주체 민족과는 달리 인종과 언어, 문화, 종교, 습관 등에서 그 주체 민족과는 다른 모습을 견지하고 있는 소수의 여타 민족 집단을 일컫는다.
중국에서 소수민족이란 원래부터 있던 말이 아니고 1920년대에 들어와...
2020.03.31,
작성자:김선주 연구위원, 작성일:2020. 3. 31., 조회수:9243
[역사와 문명]
72
『환단고기』』 위서론 비판 2. 『삼성기』 저자는 가짜다?
■『환단고기』 위서론 비판 2 『삼성기』 저자는 가짜다? 『삼성기』는 『환단고기』에 실려 있는 다섯 편의 사서 가운데 앞부분 상, 하 두 편을 가리킨다. 참고로 『환단고기』는 안함로의 『삼성기』 상편, 원동중의 『삼성기』 하편, 행촌 이암의 『단군세기』, 범장의 『북부여기』, 이맥의 『태백일사』 다섯 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환...
2020.03.27,
작성자:노종상 연구위원, 작성일:2010.3.27., 조회수:9414
[역사와 문명]
71
언어학 칼럼 1. 불어권 아프리카 이야기
아프리카는 지구상에서 불어 사용 인구가 가장 많은 대륙이다. 불어권 국가의 의미를 ‘불어가 대다수 국민의 제1 언어(모어)이거나 제2 언어인 나라, 또는 불어가 국가 공식어로 지정되어 있는 나라’라고 넓게 본다면, 아프리카 대륙에는 약 30개의 불어권 국가들이 존재한다.
2020.03.17,
작성자:홍미선 연구위원 , 작성일:2020. 3. 17., 조회수:10027
[역사와 문명]
70
서양사산책 3. 스키타이 왕국의 흥망성쇠
스키타이 왕국의 흥망성쇠 김현일 (상생문화연구소 연구원) 고대의 유목민하면 얼핏 머리에 떠오르는 것이 흉노와 스키타이이다. 흉노는 사마천의 《사기》 열전에 〈흉노전〉이라는 장이 따로 있을 정도로 한나라 때 중요한 역할을 한 북방유목민이었다. 흉노가 중국사에서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것은 진시황이 중국을 통일한 직후였다. BC...
2020.02.12,
작성일:2020. 2.12., 조회수:10328
[역사와 문명]
69
서양사산책 2. 동서문명교류의 문을 연 알렉산더대왕
동서문명교류의 문을 연 알렉산더 대왕 김현일 (상생문화연구소 연구원) 알렉산더가 부왕 필립포스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마케도니아 왕국의 왕이 된 것은 그가 20세 되던 BCE 336년이었다. 이 젊은 왕자는 왕좌에 오르자마자 부왕이 계획하던 페르시아 원정에 나서게 되...
2020.02.07,
작성자:김현일 연구위원, 작성일:2020. 2. 7., 조회수:9643
[역사와 문명]
68
서양사산책 1. 알렉산더대왕과 아리스토텔레스
알렉산더대왕과 아리스토텔레스 김현일 (상생문화연구소 연구원) 알렉산더 대왕(BCE 356-323)에 대해서는 고대부터 여러 사람들이 전기를 써는데 그 가운데 우리에게 전해지는 것으로는 1세기에 로마인 퀸투스 쿠르티우스(Quintus Curtius Rufus)가 쓴 《알렉산더 대왕의 역사》, 2세기에 그리스의 유명 역사가 ...
2020.02.07,
작성자:알렉산더 대왕은 그리스를 통일하고 페르시아 제국을 정복하여 최초로 동서양을 한 국가 아래 통일한 인물이다. 그의 스승이 바로 서양 철학의 비조인 아리스토텔레스였다. , 작성일:2020. 2.7., 조회수:12484
[역사와 문명]